본문 바로가기

학습자료338

[요약번역] J.C.Rees, "하이에크의 자유론에 관하여" J. C. Rees, “Hayek on Liberty”, Philosophy, Vol. 38, No. 146, 1963, pp. 346-360. 346 하이에크 교수의 책(The Constitution of Liberty, By F. A. Hayek. (Routledge & Kegan Paul. Price 45s).은 국가 행위의 한계라는 계속되는 질문에 대한 엄청난 기여다. 밀과 마찬가지로, 하이에크는 장기적으로는, 가장 강력한 충격을 갖는 것은 사상이라고 믿는다. 그는 또한, 사상에 관련된 이들, 특히 사회사상과 정치사상에 철학적인 수준에서 관계하는 이들은, 대중의 의견에 대부분 훨씬 앞서 있고, 그리하여 ‘다수의 의사에 반대함으로써 민주주의에 가장 잘 기여하는 경우가 흔하게 된다’고 하였다. 347.. 2017. 8. 28.
[발췌번역] 이언 카터, "존중과 평등의 기반" Ian Carter, “Resptect and the Basis of Equality”, Ethics, Vol. 121, No. 3, pp. 538-571. 538 왜 사람들 사이에 여하한 선이라도 평등하게 분배되어야 하는가? 왜 우리는 어떤 종류의 평등 대우를 사람들에게 부여해야 하는가? 어떤 사람들은 이 질문을, 사람들은 더 근본적인 수준에서 “동등자로 대우받아야 한다”는 말을 함으로써 답해왔다. 즉, 평등한 배려과 존중을 갖고 대우되어야 한다고 말함으로써 답해왔다. 이 의미에서 사람들을 동등한 자(as equals)로서 대우하는 것은 정말로 때때로, 일정한 물질적 재화의 평등 양을 주는 것을 함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답은 단지 그 질문을 한 단계 더 뒤로 미뤄놨을 뿐이다. 사람들은 왜 동등자로.. 2017. 8. 26.
[요약번역] 리처드 아네슨 "착취는 어떤 점이 부당한가?" Richard J. Arneson, “What’s Wrong with Exploitation?”, Ethics, Vol. 91, No. 2, 1981, pp. 202-227. 202 이 논문의 목적은 주되게는 해명적인 것이다. 착취에 대한 칼 맑스의 관념을 해명하고, 맑스가 이해하는 바대로의 착취에 대하여 도덕적으로 반대할 만한 점이 무엇인지를 명료하게 진술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들리는 것처럼 그렇게 직설적이지는 않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1) 착취에 관한 맑스의 규범적 견해는, 경험적인 경제적 가설과 조밀하게 얽혀 있다. 특히 노동가치이론과 말이다. 그리고 (2) 부분적으로는, 그의 실질적인 윤리적 입장이, 자명한 진리를 잘못 인식할 자기 이익을 가진 분명한 동기를 가진 사람을 제외하고.. 2017. 8. 7.
[요약번역] "착취, 강제력, 그리고 자본주의에 대한 도덕적 평가: 로머와 코헨에 대한 사유" Jeffrey Reiman, “Exploitation, Force, and the Moral Assessment of Capitalism: Thoughts on Roemer and Cohen”, Philosophy & Public Affairs, Vol. 16, No. 1, 1987, pp. 3-41 요약번역: 이한 3 나는 다음과 같은 착취의 정의를 논의하고 옹호하고자 한다: “한 사회는 다음과 같은 경우 착취적이다. 그 사회구조가 부불 노동이 체계적으로 한 계급으로 강제적으로 뽑아져서 다른 계급의 처분 하에 놓이도록 조직되어 있을 때.” 여기서 부불노동이라는 것과 강제력이라는 것이 착취의 정의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는 데 주목하라. 나는 이것을 “강제력-포함 정의force-inclusive defini.. 2017. 8. 7.
[요약번역] "페이비언 사회주의: 착취로서의 지대 이론" David M. Ricci, “Fabian Socialism: A Theory of Rent as Exploitation”, Journal of British Studies, Vol. 9, No. 1 (Nov., 1969), pp. 105-121 요약번역: 이한 페이비언 사회주의의 주장 110 (1) 사회는 경제적으로 생산적이거나 비생산적인 사람들로 구성된다. 비생산적인 사람들에게로 돌아가는 국가의 부의 어떠한 몫도, 윤리적으로 불로소득(ethically unearned)이다. 왜냐하면 그 사람들은 그 부에 어떠한 호혜적인 경제적 기여도 하지 않았디 깨문이다. 전체 계급이 그러한 불로소득으로 연명한다. 즉 그 계급은 일하는 대신 소유함으로써 생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111 여건의 작용으로 인하여 비생산적.. 2017. 8. 7.
[요약번역] 윌리엄 갤스톤 "가치 다원주의와 자유주의적 정치 이론" 아래 논문은, 요약번역자가 동의하지 아니하는 틀을 따르는 논문으로, 규범norm을 가치value로 다루는 경우에 어떠한 난점들이 생기는지를 잘 보여주는 논문이라 할 것입니다. --------- William A. Galston, “Value Pluralism and Liberal Political Theory”,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93, No. 4, p. 769 Gray (1996)을 비롯한 이들은 가치에 대한 벌린의 다원주의적 입장이 정치적 자유주의에 대한 그의 헌신과 온전히 일관되지 않는다고 논하였다. 그 본질을 벗겨내보면, 그들의 논증은 직설적이다. 가치 다원주의는 자유주의가 지지하는(affirm) 것들을 부인한다. 소위 경쟁하는 가치에 대한 자.. 2017. 6. 28.
[요약번역] "현실주의는 당신에게 좋지 않은가? 현실적 대답" Neera K. Badhwar, "Is Realsim Really Bad for You? A Realistic Response", The Journal of Philosophy, Vol. 105, No. 2 (Feb., 2008), pp. 85-107 85 자기자신과 자신의 여건에 대한 현실주의는 정신적 건강과 진정성 있는 행복(authentic happiness)의 전형적인 특징(a hallmark)으로 철학자들과 심리학자들에 의해 오랫동안 여겨져왔다. 또한 그것은 그것은 오랫동안 회의주의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최근에 회의주의는 몇몇 사회심리학자들의 연구 결과에서 새로운 지지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 사회심리학자들은 현실주의는 정신적 건강과 행복을 위해 본질적이기는 커녕 당신에게 나쁠 수 있다(bad .. 2017. 6. 27.
[요약번역] 스티븐 K. 화이트 "합리성과 정치철학의 토대: 하버마스 최근 저작에 대한 소개" Stephen K. White, "Rationality and the Foundation of Political Philosophy: An Introduction to the Recent Work of Jurgen Habermas", The Journal of Politics, Vol. 41, No. 4 (Nov., 1979), pp. 1146-1171. 이성과 정치의 관계에 관한 자연법 이론들이 그 힘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는 사실 때문에, 철학자들과 사회과학자들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다음 두 관점 중 하나에 근거하여 실천적 합리성 개념(concept of practical rationality)에 접근한다. 하나는 전략적 합리성 모델이고 다른 하나는 맥락 합리성 모델이다. 후자는 Peter Winch의.. 2017. 5. 17.
[요약번역] 조지 크리스 "드워킨의 제국" George C. Christie, "Dworkin's 'Empire'", Duke Law Journal, Vol. 1987, No. 1, 1987, pp.157-189 드워킨은 보여주려고 한다. 법의 관행적인 원천 (소위 법률과 이전의 판례뜰)이 명확한 답을 보여주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사건에서도, 법원은 하트가 상정한 재량의 상당한 정도를 행사하도록 요청도지 않는다는 것을. 드워킨은 처음에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현존하는 법의 규칙이 그 사건을 포괄하지 않거나, 현존하는 법의 규칙들이 상충할 때, 배태된 “원리”에 의존할 수 있다. 말하자면, 그 사건에서 옳은 결정을 확인하기 위해 법 체계에 배태된 원리들에 의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는 몇몇 원리들이 상충하는 방향으로 가리킬 수 있고 직접 충돌.. 2017. 5. 15.
[요약번역] 데이비드 베너타 "태아의 고통" David Benatar & Michael Benatar, "A Pain in the Fetus: Toward Ending Confusion about Fetal Pain", Bioethics, Vol. 15, No. 1, 2001 58 고통이란 무엇인가. 고통을 정의하지 않고서는 태아가 고통을 겪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 고통연구를 위한 국제연맹(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s)(IASP)는 ‘실제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 또는 그러한 손상에 의거하여 기술되는 손상과 연관된 불쾌한 감각적 그리고 정서적 경험’이라고 하고 있다. 이 정의가 정확하게 포착하고 있는 부분은 고통의 주관적인 경험적 특성(subjective experiential featu.. 2017. 5. 10.
[요약번역] 데이비드 시울리, "사회적 입헌주의의 토대: 의사소통행위 개념과 절차적 합법성에 근거한 원리들" David Sciulli, "Foundations of Societal Constitutionalism: Principles from the Concepts of Communicative Action and Procedural Legality",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Vol. 39, Np. 3, 1988, pp. 377-408. 380 풀러는 절차의 문턱을 규정한다. 이 절차의 문턱은 법의 가능한 통합성 그 자체의 가장 감축될 수 없는 기반이다. 그러나 풀러의 원리들은 심지어 더 근본적으로 중요하다. 그것들은 행위자들의 진정하게 공유된 인정과 여하한 종류의 실질적인 규범의 이해의 가장 감소될 수 없는 기반을 규정한다. 절차적이기 때문에, 풀러의 문턱 규준은 행위자,.. 2017. 5. 9.
[요약번역] 데이비드 베너타 "여전히 결코 태어나지 않는 것이 더 낫다: 내 비판자들에 대한 답변" David Benatar, "Still Better Never to Have Been: A Reply to (More of) My Critics", J Ethics (2013) 17: 121-151 2. 왜 결코 태어나지 않았던 것이 좋은가. 2.1. 비대칭성 논변 첫 번째 논변은 해악과 이득(harms and benefits)의 비대칭성에 의존한다. 고통과 쾌락을 해악과 이득 일반의 한 사례군으로 활용하여, 나는 다음과 같은 것이 논란의 여지가 없을 것이라 제안하였다. (1). 고통의 현존은 나쁘다. (The presence of pain is bad) 그리고 (2) 쾌락의 현존은 좋다. (The presence of pleasure is good) 그러나, 고통과 쾌락의 부재(absence)에 관해서.. 2017. 5. 5.
[요약번역] 피오나 울러드 "우리는 비동일성 문제를 풀었는가?" Fiona Woollard, "Have We Solved the Non-Identity Problem?", Ethic Theory Moral Prac (2012) 15:677-690 679 1. Q원리의 부적정성 Q원리 논의부터 시작하겠다. 이것은 파핏의 이득에 대한 비개인적 원리이다. Q는 말한다. 만일 그러지 않았더라면 살게 되었을 사람보다 더 나쁜 삶을 살게 되는 사람들을 존재케 하는 것은 더 나쁜 것이라고. Pricniple Q states that it is worse if those who live are worse than those who would otherwise have lived. 이 원리에 따르면 우리는 지구를 오염시키는 것을 피해야 할 이유가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지구를 오염시.. 2017. 5. 5.
[요약번역] 데이비드 베너타 "존재케 하는 일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 David Benatar, "The Unberable Lightness of Bringing into Being", Journal of Applied Philosophy, Vol. 16, No. 2, 1999. 데이비드 버나타 "존재케 하는 일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 요약번역: 이한 I. 173 재생산은 무거운 책임을 수반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보살핌, 보호, 그리고 양육을 필요로 하는 어린 아기를 존재케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과업을 수행하는 것, 특히 그 과업을 잘 수행하는 것은 그냥 통상의 기술이 아니며 상당한 자원을 요하는 것이다. 재정적으로나 인격적으로나. 그러므로 재생산이 성숙하지 못하고 생각도 없는 대다수의 사람들의 손이 닿는 범위에 그토록 쉽게 들어간다는 것은 대단히 아이러니한 일이.. 2017. 4. 30.
[요약번역] 크리스토퍼 베쇼우 "반재생산주의를 위한 새 논거" Christopher Belshaw, "A New Argument for Anti-Natalism", S. Afr. J, Philosophy, 2012, 31(1) 121 [동물과 사람의 차이] 우리 대부분은 앞에 놓인 시간과 관련하여, 정언적 욕구(categorical dersires)과 조건적 욕구(conditional desires)를 모두 갖고 있다. 정언적 욕구는 우리의 미래 존재를 확보하려는 이유를 주는 욕구이다. 그리고 조건적 욕구란, 우리가 미래에 존재하게 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이것 대신 저것이 성립되었으면 좋겠다는 욕구이다. 우리 대부분은, 다음과 같이 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함에 있어서 우리는 흔히 비합당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즉, 우리는 현재의 고통을 미래의 이득을 위해 참.. 2017.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