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FT ISEE Position on Economic Growth 1 March 2007 Originating from a Proposal at the Eighth Biennial Conference, Montreal, Canada, July 11-14, 2004 Edited Pursuant to Comments Received Following the Ninth Biennial Conference, Delhi, India, December 15-18, 2006
Background:
1) Economic growth, as defined in standard economics textbooks, is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goods and services. 표준적인 경제학 교과서에 쓰여있는 바에 의하면 경제성장이란 재화와 용역의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는 것이다.
2) Economic growth is often and generally indicated by increasing real gross domestic product (GDP) or real gross national product (GNP). 경제성장은 보통 일반적으로 실질 GDP(국내총생산)이나 실질 GNP(국민 총 생산)을 통해 측정된다.
3) Economic growth, as conventionally defined above, equates to the physical expansion of economic output. 경제성장에 관한 위와 같은 전통적 해석은 경제적 산출이 물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성장과 동일시 한다.
4) The growth of an economy will result in increasing human welfare only when the benefits (such as increased consumption of goods and services) exceed the costs (such as ecosystem degradation and loss). 경제의 성장은 오로지 편익(재화와 용역의 소비가 증가되는 등)이 비용(생태계 파괴와 손실)을 능가할 때에만 인간 후생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5) When the additional benefits of a growing economy are exceeded by the additional costs, a nation experiences "uneconomic growth," which is undesirable. 경제성장의 부가적인 편익이 부가적인 비용보다 더 작아지게 되면 그 국가는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인 "비경제적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6) An economy grows as an integrated whole consisting of agricultural, extractive, manufacturing, and services sectors that require physical inputs and produce wastes. 경제는 농업, 광업, 제조업, 서비스 부문 등 물리적 투입을 요하며 폐기물을 배출하는 (부문으로) 구성된, 통합된 전체로서 성장한다.
7) Based upon established principles of physics and ecology, there is an eventual limit to the growth of an economy. 물리학과 생태학에서 이룬 연구 성과에 기초해서 봤을 때, 경제성장에는 궁극적으로 한계가 있다.
8) An economy may temporarily grow beyond its long-term sustainable level through the use of non-renewable natural resources (for example, fossil fuels) and through the unsustainably rapid use of renewable natural resources (for example, fisheries). 경제는 재생불가능한 자원(화석연료 등)의 사용과 재생가능한 자원(어업 등)의 지속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의 급격한 사용을 통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하지 못한 수준 이상으로도 일시적으로는 성장할 수 있다.
9) The best available scientific evidence indicates that the global economy and many national economies have grown beyond their long-term sustainable levels, and that these economies will recede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resource shortages and deteriora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현재의 가장 확실한 과학적 증거들에 의하면 지구적 경제와 (개별)국가들의 경제가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수준을 초과하고 있으며 이런 경제 체계가 자원 부족과 환경의 악화로 인한 결과로 사라지게 될 것이라 예측된다.
10) Historically, substitutes for certain natural resources have been found or developed, but growth of the economy and its associated technologies are not a substitute for healthy, clean, diverse, and sustainable ecosystems. 역사적으로 몇몇 자연자원의 대체재가 발견되거나 개발됐었지만, 경제와 그에 관련된 기술의 성장은 건강하고 깨끗하며 다양하고 지속가능한 생태계의 대체제가 아니다.
11) The growth of local, regional, national, and global economies has been a primary, perennial goal of contemporary societies and governments. 경제의 국지적, 지역적, 국가적, 지구적 성장은 동시대의 사회와 정부에게 있어 1차적이면서 영속적인 목표여 왔다.
Conclusions: 1) There is a fundamental conflict between economic growth as conventionally defined (that is, increas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goods and service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for example, biodiversity conservation, clean air and water, atmospheric stability). 전통적인 의미로서의 경제성장(재화와 용역의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는 것)과 환경보호(생물종 보전, 깨끗한 공기와 물, 대기의 안정성 등) 사이에는 근본적인 갈등이 있다.
2) There is a fundamental conflict between economic growth as conventionally defined and the ecological services that underpin the economy (for example, pollination, decomposition, climate regulation). 전통적인 의미의 경제성장은 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생태계 서비스(수분작용, 분해, 기후 조절 등)와 근본적으로 갈등한다.
3) Growth of the global economy and many national economies appears to be uneconomic at this stage, largely because of the rapidly accruing costs of environmental deterioration. 지구 경제와 많은 국민국가 경제의 성장이 지금 단계에서 비경제적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주로 환경파괴로 인한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4) To the extent that we value the welfare of future generations, growth of the global economy and many national economies has become uneconomic because future generations will suffer the consequences of our un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현재세대가 지속불가능한 생산과 소비를 한 결과로 미래세대가 고통을 받게될 것이기 때문에 지구적- 국민국가적 경제의 성장은 미래세대의 후생을 고려한다면 비경제적인 상황이 되었다.
5) Economic growth may yet be an appropriate policy goal in some nations with widespread poverty, but it is incumbent upon policy-makers who formulate and enact policies for further economic growth to demonstrate that such growth may indeed be genuinely economic, with a net positive effect on human welfare. 경제성장은 빈곤이 만연한 국가들에서는 여전히 적절한 정책 목표일 수 있다. 하지만 미래의 경제 성장을 위한 정책을 만드는 정책결정자들은 이러한 성장이 정말로 순수하게 경제적인지, 인간 후생에의 순효과(net positive effect)가 어떻게 되는지를 보일 책무가 있다.
6) For many nations, more equitable distributions of wealth are more appropriate than economic growth for purposes of alleviating poverty. 많은 국가들에 있어빈곤을 경감시키려는 목적에 있어 보다 공평한 부의 분배가 경제성장보다 더 적절한 (방법)이다.
7)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ew technology should be judged in terms of whether the economic activity it promotes increases economic benefits more than it imposes environmental costs. 신기술의 개발과 응용은 그것이 환경에 부과하는 비용 보다 더 많은 경제적 편익을 가져오는 지 여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한다.
8) Indicators other than GDP are required to identify, measure, and compare the benefits and costs of economic activity in order to reveal whether the growth of an economy at during any period of time is truly economic or rather uneconomic. 경제활동의 비용과 편익을 구별하고 측정하고 비교하는 데 GDP가 아닌 다른 지표들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한 경제의 성장이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진실로 경제적인지 아닌지를 드러낼 수 있다.
9) In wealthy nations and in other nations for which it is apparent that the growth of the economy has become uneconomic, a transition should be made towards a steady state economy (that is, an economy with a relatively stable, mildly fluctuating product of population and per capita consumption). 부유한 국가들과 경제성장이 명백히 비경제적인 것으로 드러난 다른 국가들에 있어서 정상상태 경제로의 이행이 요구된다. (정상상태 경제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인고와 일인당 소비가 완만하게 요동치는 경제를 지칭한다)
10) In order to be sustainable in the long-run, a steady state economy must be of a physical scale small enough to avoid the breaching of reduced ecological and economic capacity during expected or unexpected supply shocks such as droughts and energy shortages.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정상상태 경제는 물리적 규모가 기근이나 에너지 부족과 같은 예상할 수 있거나 예상치 못할 공급 충격(supply shocks)이 발생했을 때도 생태적 경제적 용량이 줄어들어 침식되는(breaching) 것을 피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야 한다.
11) Many of the world's wealthier economies would not be sustainable even if current level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were stabilized; for the corresponding nations, policies for gradual (and therefore less disruptive) reduction in production, consumption, and population should be adopted until sustainable steady state economies can be established. 부유한 나라들은 현재 수준으로 생산과 소비를 고정시킨다고 하더라도 지속가능하지 않다. 이 국가들은 점진적인(그래서 덜 분열적인)정책을 통해 생산과 소비, 인구를 줄여서 지속가능한 정상상태 경제가 뿌리내릴 수 있을 때까지 조절해야 한다.
12) A steady state economy does not preclude economic development, a qualitative process in which different technologies may be employed, the relative prominence of economic sectors may evolve, the distribution of wealth may become more equitable, and, in general, human welfare may increase without a concomitant increase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goods and services. 정상상태 경제는 경제발전을 도외시 하지 않는다. (경제발전을 통해)다른 기술들이 채택될 수 있고 경제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활발한 부분들이 진화해 갈 것이며 부의 분배는 보다 공정해 질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인간의 후생은 재화와 용역의 생산과 소비의 증가를 동반하지 않으면서도 증진될 수 있다.
13) Upon establishing sustainable steady state economies, it would be advisable for wealthier nations to assist other nations in moving from the goal of a growing economy to the goal of a steady state economy in as equitable a manner as possible. 지속가능한 정상상태 경제를 확립하는 데 있어서 더 부유한 국가가 다른 국가들을 경제성장이란 목표를 정상상태경제로 바꾸게 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하고 이는 가능한 최대로 공평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Please send comments to Dr. Brian Czech at czech@vt.edu 한국어 번역본에 관한 의견은 pompoco78@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