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직2 [요약번역] 카우프만 "정형 원칙이라는 미신" 이 논문은, 롤즈에 대한 노직의 비판의 논리를 설득력 있게 비판하는 내용입니다. 이 논문이 중요한 이유는, 롤즈의 정의 원칙과 추론 방식에 대해 이러저러하게 제기되는 공격이 사실 노직이 대부분 제기한 것의 반복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 논문이 지적하는 노직 논리의 구멍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노직은 롤즈의 이론이 '정형 이론', 그러니까 무슨 분배 패턴에 맞춰서 분배를 할 뿐이지, 그 재화들을 갖게 된 경위(예를 들어 시장에서 수요가 있는 서비스와 재화를 공급하여 그 대가로 받았다거나 자신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증여받았다/또는 훔쳤거나 강탈했다)는 고려하지 않는 비역사적인 패턴에 기반하여 간섭하는 이론이라고 비판합니다. 그런데 이 논문은 첫째, 노직 자신이 제시한 정형 이론(patte.. 2013. 6. 11. [요약번역] 존롤즈 <재진술A Restatement> 1. 이 글은 롤즈가 을 쓰고 나서 그에 대하여 제기되 비판들에 답하면서, 정의론의 명제들의 의미를 다시금 풍부하게 해명하고, 약간 수정한 책인 의 중요한 절들을 번역한 것입니다. 물론 이 주옥같은 책들의 모든 절들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나, 여기에 수록된 절들은, "그냥 최소 소득만 보장해주고 자유롭게 자본주의 해서 정글 경쟁하면 되지 않나? 그렇게 하지 않고 굳이 차등의 원칙을 주장하는 것은 네가 사람들의 개별성을 오히려 소중히 여기지 않고 있다는 증거다. 아니면, 너는 극도의 위험기피적인risk-aversion 인간관을 가지고 그것을 함부로 끼워넣고 있다."는 노직Nozick류의 비판이나, 하사니Harsayni류의 왜곡된 비판에 적절히 답하면서 롤즈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인 내용입니다. 특히 롤즈가 차.. 2011. 10.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