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번역] 사무엘 프리먼 "공리주의, 의무론, 그리고 옳음의 우선성"
Samuel Freeman, "Utilitarianism, Deontology, and the Priority of Right", Philosophy & Public Affairs, Vol. 23, No. 4, 1994, pp. 313-349. 요약번역: 이한 314 존 롤즈의 목적론/ 의무론 구분은 결과주의/비결과주의 구분과는 다르다. 목적론적 견해는 옳음이 좋음을 극대화한다는 결과주의 논제를 긍정한다. 그러나 그들은 추가적인 논제를 덧붙인다. 즉 좋음이 옳음과는 독립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는 논제를 말이다. (TJ, p. 24) 또는 롤즈가 종종 이야기하듯이, 좋음이 여하한 도덕 개념이나 원리들과도 독립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고 말한다. (John Rawls, A Theory of Justice (Cam..
2017. 4. 29.
[요약번역] 리브카 와인버그 "비동일성 문제 파악하기 그리고 해소하기"
Rivka Weinberg, "Identifying and Dissolving the Non-Identity Problem", Philos Sud (2008), 137, 3- 18 요약번역: 이한 4 나는 비동일성 문제는, 존재 그 자체가 미래 사람들의 삶의 이익에 대한 저해를 압도한다는 가정에 의존하지만, 미래 사람들은 존재 그 자체에는 이익을 갖고 있지 않다고 논할 것이다. 존재 그 자체를 삶의 저해를 압도하는 것으로 사용하는 것은, 그저 가능한 사람들에 대한 잘못된 고려를 드러낸다. 즉, 가능하게 존재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을 가상적 살마들에 대한 잘못된 관심 말이다. 가능하게 존재할 수 있고 그리고 실제로 존재할 사람들은 미래 사람들이다. 즉, 미래에는 존재할 터이지만 지금은 존재하지..
2017.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