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보기401

[요약번역] "현실주의는 당신에게 좋지 않은가? 현실적 대답" Neera K. Badhwar, "Is Realsim Really Bad for You? A Realistic Response", The Journal of Philosophy, Vol. 105, No. 2 (Feb., 2008), pp. 85-107 85 자기자신과 자신의 여건에 대한 현실주의는 정신적 건강과 진정성 있는 행복(authentic happiness)의 전형적인 특징(a hallmark)으로 철학자들과 심리학자들에 의해 오랫동안 여겨져왔다. 또한 그것은 그것은 오랫동안 회의주의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최근에 회의주의는 몇몇 사회심리학자들의 연구 결과에서 새로운 지지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 사회심리학자들은 현실주의는 정신적 건강과 행복을 위해 본질적이기는 커녕 당신에게 나쁠 수 있다(bad .. 2017. 6. 27.
[요약번역] 스티븐 K. 화이트 "합리성과 정치철학의 토대: 하버마스 최근 저작에 대한 소개" Stephen K. White, "Rationality and the Foundation of Political Philosophy: An Introduction to the Recent Work of Jurgen Habermas", The Journal of Politics, Vol. 41, No. 4 (Nov., 1979), pp. 1146-1171. 이성과 정치의 관계에 관한 자연법 이론들이 그 힘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는 사실 때문에, 철학자들과 사회과학자들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다음 두 관점 중 하나에 근거하여 실천적 합리성 개념(concept of practical rationality)에 접근한다. 하나는 전략적 합리성 모델이고 다른 하나는 맥락 합리성 모델이다. 후자는 Peter Winch의.. 2017. 5. 17.
[요약번역] 조지 크리스 "드워킨의 제국" George C. Christie, "Dworkin's 'Empire'", Duke Law Journal, Vol. 1987, No. 1, 1987, pp.157-189 드워킨은 보여주려고 한다. 법의 관행적인 원천 (소위 법률과 이전의 판례뜰)이 명확한 답을 보여주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사건에서도, 법원은 하트가 상정한 재량의 상당한 정도를 행사하도록 요청도지 않는다는 것을. 드워킨은 처음에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현존하는 법의 규칙이 그 사건을 포괄하지 않거나, 현존하는 법의 규칙들이 상충할 때, 배태된 “원리”에 의존할 수 있다. 말하자면, 그 사건에서 옳은 결정을 확인하기 위해 법 체계에 배태된 원리들에 의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는 몇몇 원리들이 상충하는 방향으로 가리킬 수 있고 직접 충돌.. 2017. 5. 15.
[요약번역] 데이비드 베너타 "태아의 고통" David Benatar & Michael Benatar, "A Pain in the Fetus: Toward Ending Confusion about Fetal Pain", Bioethics, Vol. 15, No. 1, 2001 58 고통이란 무엇인가. 고통을 정의하지 않고서는 태아가 고통을 겪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 고통연구를 위한 국제연맹(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s)(IASP)는 ‘실제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 또는 그러한 손상에 의거하여 기술되는 손상과 연관된 불쾌한 감각적 그리고 정서적 경험’이라고 하고 있다. 이 정의가 정확하게 포착하고 있는 부분은 고통의 주관적인 경험적 특성(subjective experiential featu.. 2017. 5. 10.
[요약번역] 데이비드 시울리, "사회적 입헌주의의 토대: 의사소통행위 개념과 절차적 합법성에 근거한 원리들" David Sciulli, "Foundations of Societal Constitutionalism: Principles from the Concepts of Communicative Action and Procedural Legality",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Vol. 39, Np. 3, 1988, pp. 377-408. 380 풀러는 절차의 문턱을 규정한다. 이 절차의 문턱은 법의 가능한 통합성 그 자체의 가장 감축될 수 없는 기반이다. 그러나 풀러의 원리들은 심지어 더 근본적으로 중요하다. 그것들은 행위자들의 진정하게 공유된 인정과 여하한 종류의 실질적인 규범의 이해의 가장 감소될 수 없는 기반을 규정한다. 절차적이기 때문에, 풀러의 문턱 규준은 행위자,.. 2017. 5. 9.
[요약번역] 데이비드 베너타 "여전히 결코 태어나지 않는 것이 더 낫다: 내 비판자들에 대한 답변" David Benatar, "Still Better Never to Have Been: A Reply to (More of) My Critics", J Ethics (2013) 17: 121-151 2. 왜 결코 태어나지 않았던 것이 좋은가. 2.1. 비대칭성 논변 첫 번째 논변은 해악과 이득(harms and benefits)의 비대칭성에 의존한다. 고통과 쾌락을 해악과 이득 일반의 한 사례군으로 활용하여, 나는 다음과 같은 것이 논란의 여지가 없을 것이라 제안하였다. (1). 고통의 현존은 나쁘다. (The presence of pain is bad) 그리고 (2) 쾌락의 현존은 좋다. (The presence of pleasure is good) 그러나, 고통과 쾌락의 부재(absence)에 관해서.. 2017. 5. 5.
[요약번역] 피오나 울러드 "우리는 비동일성 문제를 풀었는가?" Fiona Woollard, "Have We Solved the Non-Identity Problem?", Ethic Theory Moral Prac (2012) 15:677-690 679 1. Q원리의 부적정성 Q원리 논의부터 시작하겠다. 이것은 파핏의 이득에 대한 비개인적 원리이다. Q는 말한다. 만일 그러지 않았더라면 살게 되었을 사람보다 더 나쁜 삶을 살게 되는 사람들을 존재케 하는 것은 더 나쁜 것이라고. Pricniple Q states that it is worse if those who live are worse than those who would otherwise have lived. 이 원리에 따르면 우리는 지구를 오염시키는 것을 피해야 할 이유가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지구를 오염시.. 2017. 5. 5.
[요약번역] 데이비드 베너타 "존재케 하는 일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 David Benatar, "The Unberable Lightness of Bringing into Being", Journal of Applied Philosophy, Vol. 16, No. 2, 1999. 데이비드 버나타 "존재케 하는 일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 요약번역: 이한 I. 173 재생산은 무거운 책임을 수반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보살핌, 보호, 그리고 양육을 필요로 하는 어린 아기를 존재케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과업을 수행하는 것, 특히 그 과업을 잘 수행하는 것은 그냥 통상의 기술이 아니며 상당한 자원을 요하는 것이다. 재정적으로나 인격적으로나. 그러므로 재생산이 성숙하지 못하고 생각도 없는 대다수의 사람들의 손이 닿는 범위에 그토록 쉽게 들어간다는 것은 대단히 아이러니한 일이.. 2017. 4. 30.
[요약번역] 크리스토퍼 베쇼우 "반재생산주의를 위한 새 논거" Christopher Belshaw, "A New Argument for Anti-Natalism", S. Afr. J, Philosophy, 2012, 31(1) 121 [동물과 사람의 차이] 우리 대부분은 앞에 놓인 시간과 관련하여, 정언적 욕구(categorical dersires)과 조건적 욕구(conditional desires)를 모두 갖고 있다. 정언적 욕구는 우리의 미래 존재를 확보하려는 이유를 주는 욕구이다. 그리고 조건적 욕구란, 우리가 미래에 존재하게 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이것 대신 저것이 성립되었으면 좋겠다는 욕구이다. 우리 대부분은, 다음과 같이 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함에 있어서 우리는 흔히 비합당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즉, 우리는 현재의 고통을 미래의 이득을 위해 참.. 2017. 4. 30.
[요약번역] 데이비드 베너타, "믿으라는 명령에 반대하여" David Benatar, "Against Commanding to Believe",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Jewish Studies, Volume 19, No. 2, 2001, pp. 87-104 명령의 개념(The concept of a commandment)는 유대주의에 중심적이다. 전통적인 유대인의 사고에 의하면, 명령은 신으로부터 나오고, 유대인에게 의무의 광범위한 집합을 부과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나는 이 명령들 중에서, 믿음을 요구하는 명령은 있어서는 안 된다고 논할 것이다. 나는 믿음은 명령이나 법의 대상이 적합하게 될 수 없다고 논할 것이다. 사람들을 믿게끔 의무지우는 데에는 도덕적 문제와 실천적 문제가 동시에 있다. 나의 초점은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 2017. 4. 30.
[요약번역] 로널드 드워킨, "평등, 민주주의, 그리고 헌법: 법원에서의 우리 인민" 제목: Ronald Dworkin, "Equality, Democracy, and Constitution: We the People in Court“, Alberta Law Review Vol. XXVIII, No. 2. 325 1. 문제 최고법원의 판사들은 선출되지 않고 임명된다. 그리고 이례적인 비위 행위를 하지 않으면 그들은 종신으로 재직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판사들에게 큰 정치적 권한을 주는 것은, 민주주의에서는 공직자들은 인민에 의해 선택되고 인민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원리에 위반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것이 이야기의 전부는 아니다. 우리는 권한이 큰 다른 공직자들이 선출되지 않을 때 그것이 심각하게 비민주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재무장관, 국방부 장관 등이 선출되지 않지만, 그들은 일주.. 2017. 4. 30.
[요약번역] 마틴 모리스 "수행적 모순의 논리에 관하여: 하버마스와 이성에 대한 급진적 비판" Martin Morris, "On the Logic of the Performative Contradiction: Habermas and the Radical Critique of Reason", The Review of Politcs, Vol. 58, No. 4, 1996. 요약번역: 이한 740 “수행적 자기 모순”의 고발은, 그 기본적인 형태로 보자면, 화자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그러한 모순을 범한다고 한다. 그 화자가 말하는 바의 명제적 내용이 주장된 명제 그 자체의 조건과 모순될 때. (that a speaker commits such a contradiction when the propositional content of what the speaker says contradicts the co.. 2017. 4. 30.
[요약번역] 제프 레슬리, 카스 선스타인 "논란의 여지 없는 동물의 권리" Jeff Leslie and Cass R. Sunstein, "Animal Rights without Controversy", Law and Contemporary Problems, Vol. 70, No. 1, Animal Law and Policy, 2007, pp. 117-138 사람들은 동물을 어떻게 대우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의견이 갈린다. 그러나 경쟁하는 신념들 사이의 긴장은, 널리 퍼진 실천과 널리 퍼진 도덕적 헌신 사이의 긴장보다는 훨씬 덜 두드러진다. 사람들은 동물에게 이례적인 고통을 야기하는 실천에 연루된다. 만일 이 실천들이 아주 똑똑히 보이게 된다면, 이러한 실천들은 변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이 이미 그러한 실천들이 도덕적으로 수용될 수 없는 것이라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2017. 4. 29.
[요약번역] 사무엘 프리먼 "공리주의, 의무론, 그리고 옳음의 우선성" Samuel Freeman, "Utilitarianism, Deontology, and the Priority of Right", Philosophy & Public Affairs, Vol. 23, No. 4, 1994, pp. 313-349. 요약번역: 이한 314 존 롤즈의 목적론/ 의무론 구분은 결과주의/비결과주의 구분과는 다르다. 목적론적 견해는 옳음이 좋음을 극대화한다는 결과주의 논제를 긍정한다. 그러나 그들은 추가적인 논제를 덧붙인다. 즉 좋음이 옳음과는 독립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는 논제를 말이다. (TJ, p. 24) 또는 롤즈가 종종 이야기하듯이, 좋음이 여하한 도덕 개념이나 원리들과도 독립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고 말한다. (John Rawls, A Theory of Justice (Cam.. 2017. 4. 29.
[요약번역] 리브카 와인버그 "비동일성 문제 파악하기 그리고 해소하기" Rivka Weinberg, "Identifying and Dissolving the Non-Identity Problem", Philos Sud (2008), 137, 3- 18 요약번역: 이한 4 나는 비동일성 문제는, 존재 그 자체가 미래 사람들의 삶의 이익에 대한 저해를 압도한다는 가정에 의존하지만, 미래 사람들은 존재 그 자체에는 이익을 갖고 있지 않다고 논할 것이다. 존재 그 자체를 삶의 저해를 압도하는 것으로 사용하는 것은, 그저 가능한 사람들에 대한 잘못된 고려를 드러낸다. 즉, 가능하게 존재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을 가상적 살마들에 대한 잘못된 관심 말이다. 가능하게 존재할 수 있고 그리고 실제로 존재할 사람들은 미래 사람들이다. 즉, 미래에는 존재할 터이지만 지금은 존재하지.. 2017.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