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번역] 사무엘 세플러, <인간의 도덕> 제1장
Samuel Scheffler, Human Morality, New York: Oxfor University Press, 1992. 목차 1장 서론적 주제들 3 2장 도덕의 요구와 그 한계: 경쟁하는 견해들 17 3장 평가, 숙고, 그리고 이론 29 4장 우선성, 인간적 타당성, 그리고 동기부여 자연주의 52 5장 이유, 심리학, 그리고 도덕의 권위 73 6장 순수성과 인간성 98 7장 겸손의 논거 115 8장 도덕, 정치, 그리고 자아 133 색인 147 3 1장 서론적 주제들 일부 사람들은, 도덕의 요구가 적절하게 이해되었을 때, 계몽된 자기이익의 요구와 일치한다고 생각하며, 몇몇 위대한 철학자들도 그렇게 주장해왔다. 그런 사람들에게 도덕과 개인적 관심사 사이의 관계에 관한 가장 중요한 질문들은 도덕..
2018. 8. 4.
[요약번역] 데이비드 베너타, "낙천주의 망상"
David Benatar, "The Optimism Delusion", Think, 2008, 19 리처드 도킨스는 그의 에서, 유신론의 그름을 드러내면서 그 자신의 망상을 드러냈다. 즉, 낙천주의의 나쁜 사례를 보여주었다. 낙천주의는 상황을 실제 있는 대로보다 더 낫다고 (또는 실제 있었던, 있을 것보다 더 낫다고) 믿는 망상적 신념(delusional belief)이다. 낙천주의는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여기서 유관한 것은, 인간성과 인간 조건에 관한 낙천주의다. (optimism about humanity and the human condition) 그것은 유신론보다 훨씬 더 널리 퍼진 망상이다. 그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을, 유신론자건 무신론자건 가리지 않고- 묶는다. 도킨스 교수도 예외는 아..
2018. 4. 6.